-
삼성 XR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 – 구글과 함께 만드는 차세대 헤드셋의 모든 것모바일 2025. 6. 20. 08:25반응형
삼성전자가 2025년 하반기를 겨냥해 개발 중인 차세대 XR(확장현실) 헤드셋의 공식 프로젝트명이 바로 '무한(Project Moohan)'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메타(Meta)의 Quest 시리즈와 애플(Apple)의 Vision Pro에 대항하기 위한 삼성의 본격적인 XR 진출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한은 단순한 기기 출시가 아닌, 삼성, 구글, 퀄컴 3사가 협력하는 새로운 XR 생태계 구축의 시발점이라는 점에서 기술 산업 전반에 큰 파장을 예고합니다. 삼성은 기기 제조와 하드웨어 설계, 구글은 운영체제와 AI 소프트웨어, 퀄컴은 고성능 칩셋을 담당하고 있어, 기존의 폐쇄적인 XR 플랫폼과는 차별화된 ‘개방형 XR 생태계’를 지향합니다.
삼성이 공개 예정인 XR 헤드셋, 무한 출시 일정과 공개 계획
삼성은 2025년 7월 Galaxy Unpacked 행사에서 '프로젝트 무한'을 비공식적으로 시연할 계획입니다. 주요 미디어 및 업계 관계자에게 일부 기능을 제한적으로 선보인 뒤, 9월 29일 국내 언팩 행사를 통해 정식 공개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국내 출시일은 2025년 10월 13일, 이후 북미 및 유럽 시장에도 순차적으로 론칭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은 Vision Pro처럼 미국 중심의 초기 판매보다는, 한국 시장에서 첫 출시 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택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드웨어 사양 및 주요 기술
프로젝트 무한은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 적용됩니다.
- 칩셋: Qualcomm의 Snapdragon XR2+ Gen 2 칩셋이 탑재되며, 삼성의 최신 4nm 공정으로 생산됩니다. 이 칩은 연산 성능과 전력 효율을 동시에 개선하여 XR 환경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 디스플레이: Sony가 제조한 1.3인치 4K OLED-on-Silicon 디스플레이가 적용됩니다. 화면 밀도는 3,800ppi로 Apple Vision Pro(≈3,391ppi)를 초월하며, 사용자는 실제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화질로 가상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카메라 및 센서: 양안 추적(Eye Tracking), 손 추적(Hand Tracking), 거리 센서, 환경 인식 카메라 등 총 6~8개 이상의 센서가 장착될 예정입니다.
- 착용감: 무게 중심을 앞뒤로 적절히 분산시킨 디자인과 헤드밴드 조절 기능으로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적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프로토타입을 체험한 일부 외신 기자들은 "의외로 가볍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Android XR 플랫폼과 구글 Gemini 통합
‘프로젝트 무한’의 가장 큰 차별점은 Android XR 운영체제의 최초 탑재입니다. 이는 구글이 애플의 VisionOS에 맞서기 위해 전략적으로 개발한 새로운 XR OS이며, 프로젝트 무한은 그 첫 번째 레퍼런스 기기가 됩니다.
Android XR은 기존의 안드로이드 앱과의 높은 호환성을 바탕으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앱들을 공간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여기에 구글의 AI 모델 Gemini가 통합되어, 시선 추적과 음성 명령, 손 제스처를 통해 자연어 인터페이스가 구현됩니다.
사용 예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선을 특정 아이콘에 고정하면 자동 선택
- "이 문서 열어줘"라고 말하면 해당 PDF 파일 실행
- 손가락을 펴고 원을 그리면 가상 화면 확대 등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리모컨 기반 XR 조작에서 벗어나, 훨씬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기능 및 사용자 경험
삼성 무한 헤드셋은 실내외 모든 환경에서의 몰입형 경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패스스루(Passthrough): 외부 세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컬러 패스스루 기능이 탑재되어, 현실과 가상 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습니다.
- 공간 오디오: 방향성과 거리감을 정밀하게 구현하는 공간 음향 기술을 통해 가상 환경에서의 현장감을 높였습니다.
-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음성 + 시선 + 손 제스처를 결합한 복합 입력 시스템을 통해, 기기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 개방형 앱 환경: 기존 Android 개발자 생태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콘텐츠 부족 문제 없이 다양한 앱들이 빠르게 XR 환경에 대응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메타, 애플과의 경쟁 구도
삼성 무한은 메타(Meta)의 Quest 시리즈 및 애플의 Vision Pro와 정면으로 경쟁합니다.
구분 삼성 무한 메타 퀘스트3 애플 비전프로 플랫폼 Android XR Meta OS VisionOS 칩셋 Snapdragon XR2+ Gen 2 동일 Apple M2 + R1 해상도 3,800ppi 약 2,200ppi 약 3,391ppi 가격 미정 (1,500~2,000달러 예상) $499 $3,499 삼성은 특히 안드로이드 생태계와의 통합, 개방형 플랫폼 전략,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 등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려는 전략입니다.
산업적 파급력과 전망
프로젝트 무한은 소비자용 XR 기기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삼성은 이를 통해 교육, 원격 협업, 산업훈련, B2B 솔루션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또한 안드로이드 기반이라는 점은 전 세계 수억 명의 사용자, 수백만 앱 개발자와의 연결 고리를 제공하며, 콘텐츠 공급 측면에서도 애플과 메타보다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글 Gemini 기반 AI 통합은 향후 AI + XR 융합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핵심 요소이며, 삼성은 이를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의 중심으로 삼을 전략입니다.
결론: 삼성 ‘무한’이 열어갈 XR의 미래
프로젝트 무한은 삼성전자가 보여주는 XR 기술의 결정체이자, 향후 10년을 이끌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의 시초입니다. 기존 스마트폰 중심의 모바일 시장을 넘어, XR을 중심으로 한 혼합현실 시대를 삼성은 본격적으로 열고자 합니다.
‘무한’이라는 이름처럼, 현실과 가상, 기기와 사용자, 콘텐츠와 플랫폼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무한한 가능성을 담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향후 XR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이 글이 유용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 최신 IT 소식이 궁금하다면, 블로그 구독도 잊지 마세요! 😊
반응형'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휴대폰 AS 서비스, 오늘부로 공식 종료… 사용자 대응 가이드 (2) 2025.06.30 삼성 갤럭시 Z 폴드7 · 플립7 출시 전 총정리 – 2025 하반기 폴더블폰의 결정판 (4) 2025.06.27 VPN 추천 비교 – 보안을 위한 최고의 VPN 서비스는? (6) 2025.06.16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쓰는 보안 설정 체크리스트 – 일상 속 디지털 보안을 위한 가이드 (4) 2025.06.12 비밀번호 관리 앱 비교 – 1Password vs Bitwarden vs Apple 암호 (4) 2025.06.06